본문 바로가기

동기부여 마음수련11

석문사상 중에서 한 빛! 한 줄! 한 호흡!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대변화와 함께 지상에서는 강력한 정화작용이 일어난다. 이는 태공의 조화와 완성, 거듭남을 위한 천지인의 구조적 대전환이다. 3부 인류 대전환의 시기 제8장 후천이 열리는 과정 1. 인류 역사의 기원 및 시운의 흐름 1) 인류 역사의 기원 한민족 역사서 중 하나인『삼국유사』에서는 "고기古記에 말하기를 옛날에 한인이 계셨다"는 문장으로 역사의 시작을 설명한다. 태초에 지상이 창조된 이후 여러 종의 인간이 만들어졌다가 도태되었고, 현생 인류가 나오면서 하늘의 뜻을 간직한 신명들이 7대에 걸쳐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내려와 지상문명을 열었다. 그 시작이 12분국으로 이루어진 한인의 한국이다. ('한국桓國'은 태곳적 하늘의 뜻으로 열린 인류 최초의 문화ㆍ문명국으.. 2018. 2. 19.
석문사상 중에서 한 빛! 한 줄! 한 호흡! 6. 후창세시대 태초시대가 신명의 역사라면, 선천시대는 인간의 역사며, 후천시대는 도인의 역사다. 전창세시대는 창조의 시작이고, 후천은 모든 존재가 본래의 창조목적에 따라 조화와 완성, 거듭남을 이루는 시대다. 그리고 후천이 지나면 다시 겨울이 도래하는데, 이때 기존의 모든 것이 한차원 거듭나면서 새로운 창조가 시작된다. 전창세시대에 창조역사가 시작되었듯이, 후창세시대에 또 다른 창조역사가 시작되는 것이다. 전창세와 후창세는 형국이 비슷해 보이지만 그 내용은 완전히 다르다. 그렇다면 실제 무엇이 다른가? 이 부분은 봉인되어 있다. 새로운 차원의 창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후창세시대가 도래하는 것뿐이다. 그 시대가 도래 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역사가 바로 후.. 2018. 2. 11.
석문사상 중에서 한 빛! 한 줄! 한 호흡! 제7장 한 역사의 시대구분 한桓역사는 한桓빛의 역사다. 한桓 공간에서 한桓 시간의 흐름으로 이어져 원형으로 순환하며 거듭남을 이루어 내는 창조역사다. 즉 하늘이 열리고 대우주와 지구가 생겨난 후 인간이 창조되어 분화(분열), 발전해 온 시간과 공간의 역사가 한 역사다. 천지인은 창조된 순간부터 태공의 섭리와 이치에 따라 다시 근본으로 회귀하는 거듭남의 과정을 밟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역사를 '한역사'라 한다. 한역사에 따른 시대의 흐름은 전창세, 태초, 선천, 후천, 후창세의 순서로 이어지는데, 1988년 하늘과 땅과 사람을 하나로 잇는 석문도법이 세상에 내려오면서 후천이 시작된다. 근본적인 흐름은 하나로 이어져 있지만 전창세와 태초를 거쳐 선천이 시작되면서 천지인이.. 2018. 1. 8.
재미있는 기(氣) 이야기 재미있는 氣 이야기 기란 무엇인가? 만물유기萬物有氣란 말이 있습니다. 모든 사물에는 기가 있다는 말이지요.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가득 차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기입니다. 기는 천지만물의 근본으로 어느 것 하나도 기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양손을 뜨겁게 비벼보세요. 뜨겁게 느껴지는 그것을 우리는 온기溫氣라 합니다. 거기에 ‘온’자를 빼면 기인데, 차가운 냉기, 뜨거운 열기 이 모두가 기에 대한 감각을 표현한 것입니다. 다소 어려운 말이지만 이러한 기는 도광영력道光靈力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광영력은 세상 만물의 근본을 이루는 ‘창조의 빛’을 말합니다. 기와 세상 모든 만물이 이 빛에서 파생되었습니다. 기의 종류 기는 삼라만상의 수만큼 다양합니다. 수련을 하는 .. 2017. 12. 12.
수도修道에 대한인식 3. 용의 관점 1) 수도(修道)에 대한 인식 세상 모든 것은 도에서 비롯된다. 도가 비현실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수도는 특별한 소수만 하는 것이라는 인식은 인간의식의 수준에서 도의 실상을 파악하는 가운데 일어난 오해다. 본질적 차원에서 보면, 세상 모든 사람들이 도를 닦으며 살고 있다. 현대적 언어로 이야기하면, 수도는 자기 계발 및 발전에 있어 가장 궁극적인 방법론이다. 수도라는 방법론으로 자기상승을 통한 자기조화와 자기완성이 가능하다. 사람은 누구나 하늘에서 내려와 하늘로 돌아가는데, 몸을 가지고 지상에 태어나는 것은 자신의 근본 빛을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그래서 세상을 공부환경이라고 말한다. 즉 다양한 사람들이 인연을 맺고 관계를 형성하면서 공부를 해 나가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존재적 시.. 2017. 12. 12.